지속 가능한 발전 | Sustainable Development(33)
-
도시 회복력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2020년 4월에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뉴스레터와 브런치를 통해 발행된 글입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전 세계 시민의 삶 변화 도시가 충격에서 원상태로 돌아오는 회복력 하드웨어적 충격에 대비한 소프트웨어적 관리 필요 코로나19 위기가 불러온 3가지 역설적 기회들 하나. 회복력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 모델 가속화 둘. 지구의 안식년 -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 자각 셋. 새로운 일상과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 image from Unsplash 2020년 4월 1일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확진 환자 수는 90만 명을 향하고 있고, 사망자 수도 4만 명을 훌쩍 넘어버렸다. 바이러스 확산 초기에는 중국을 시작으로 한국에서 폭발적인 전염이 보고되었으나, 3월 들어서는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유럽 대부..
2023.11.19 -
[투자] 진정한 투자란?
Photo by rawpixel on Unsplash혼자있는 시간이 많지만 TV가 없는 나는 팟캐스트를 듣는 시간이 많다. 내가 살아있는 한 경제라는 공기와도 같은 현상 혹은 시스템 속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에 평소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를 매일같이 즐겨 듣는다. 마법같은 비유로 경제 상식을 쉽게 풀어주는 이진우 기자의 폭넓은 지식과 말솜씨에 매 번 감탄하면서 듣고 있다.더불어, 팟캐스트계의 유재석이라 불리는 최욱씨(물론 그의 말이다.)가 정영진씨와 함께 진행하는 불금쇼는 무료한 일상에 소소한 즐거움을 주기에 충분한 일종의 예능 팟캐스트이다. 최욱씨의 넘치는 센스와 드립에 감탄하고, 그의 다소 무리한 드립을 절묘하게 받아치는 정영진씨의 센스와 포용성에 다시 한 번 감탄한다. 최근에는 새로운 정부 이후 ..
2018.08.04 -
인공지능(AI)이 결코 대체하지 못할 직업들
Franck Veschi 당신은 향후 5년 안에 당신의 이력서에서 다양한 변화를 발견하게 될 수 있다. 그것은 당신의 잘못도 아니고, 단지 당신이 현재 혹은 과거에 갖고있던 직업과 책임들이 매우 빠른 속도로 쓸모없는 것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주고 있는 기계들과 기술을 탓해야 할 것 같다. 기계가 우리의 일을 대신해주면서 동시에 생계를 위한 우리의 소득의 원천인 직업을 잠식해 갈 것이기 때문이다. 인공지능(AI)과 컴퓨터에 기반한 로봇들이 미국은 물론 전 세계의 많은 일자리들을 대체해 나가고 있으며, 기계들의 영역이 점점 더 확대되어 갈 것은 분명하다. 실제로, 컨설팅 회사 PwC는 2030년까지 미국 일자리의 38%가 기계와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예측하..
2018.03.25 -
블록체인(Blockchain), 누구냐 넌...
블록체인, 비트코인, 암호화폐, 분산화, 이더리움, 리플, 4차 산업혁명, 온전성, 익명성, Blockchain, Bitcoin, Crypto Currency, Decentralization, Etherium, Rippl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grity, Anonymity
2018.03.24 -
반지하 예찬
[특집] 반지하 예찬 서울이나 경기도권에 적을 두지 않은 대한민국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라면 배움 혹은 취업의 기회를 찾아 상경을 했던 경험 혹은 자녀나 형제의 상경을 바라봐야 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새로운 기회를 찾아 떠나는 것은 두려움 만큼이나 가슴을 설레게 하는 경험이지만 그 곳에서의 생활이 그리 녹록치 않다는 것은 당사자의 경험이나 지인들의 도시생활에서의 무용담을 통해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20살 부터 시작된 서울 및 인근을 떠돌아 다니며 살아야 했던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시원 생활백서를 블로그에 올렸다. 5년 가까이 살았던 고시원을 떠나면서 힘들고 외로웠던 당시의 기록을 궂이 끄집어 내어 글로 적었던 이유는, 아직도 비슷하게 서울살이를 시작해야 하는 젊은 청년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기..
2014.07.06 -
자전거 활성화 도시 사례 분석_경북 상주시
3. 자전거 활성화 도시 사례 분석 3.2. 경북 상주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쪽의 내륙에 위치한 도농복합형 도시로서 농업이 전체 산업의 60% 가량을 차지하는 농업을 기반으로 발달된 도시다. 도시 전체가 평야 위에 조성된 듯 매우 평평하여 자전거를 타기에 매우 적합한 지형 조건을 갖추고 있다. 상주에는 1910년경에 자전거가 처음 보급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100년 이상의 유구한 자전거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가구당 자전거 보급률이 약 2대 정도로 전국 최고를 자랑하며 자전거의 수송 분담률도 27%에 육박하여 국가 전체 평균인 5%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특별히 지난 4월에는 제 3회 대한민국 자전거 축전을 개최하면서 대표 자전거 도시로서의 입지를 다지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하에서는 대한민국 ..
2014.05.20